[자료구조] 이진 탐색 트리의 구현(1)
이진 탐색 트리는 이진 트리이다.
때문에 이진 트리 + a = 이진 탐색 트리가 될 수 있다.
위의 논리에 따르면 구현방식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.
1. 이전에 구현한 이진 트리를 참조하여 처음부터 새로운 이진 탐색 트리를 만든다.
2. 이전에 구현한 이진 트리를 활용하여 이진 탐색 트리를 만든다.
둘 다 가능한 방법이지만, 기존에 있는 이진 트리의 구현을 좀 더 확장하여
구현하는 두 번째 방법으로 이진 탐색 트리를 구현하도록 하겠다.
물론 좀 더 간편하다는 장점도 있지만, 소프트웨어 설계적인 부분에서도
기존의 코드를 활용한다는 것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이다.
01. 기존 이진 트리를 구현한 함수
02. 이진 탐색 트리의 구현을 위해 추가되어야 할 부분
앞서 말한대로 이진 트리를 만들기 위해 구현한 함수들을 가지고
이진 탐색 트리의 함수들을 만들어 볼 것이다. 어떠한 함수는
간단한 래퍼타입으로 끝날 것이고, 어떠한 함수는 어느정도의 구현이 필요할 것이다.
다음 포스팅에는 삽입과 탐색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다.
'C, 자료구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자료구조] 이진 탐색 트리의 구현(2) 삽입, 탐색 (0) | 2017.06.08 |
---|---|
[자료구조] 이진 탐색 트리의 이해(1) (0) | 2017.05.29 |
[자료구조] 보간 탐색의 이해(1) (0) | 2017.05.26 |
[자료구조] 우선순위 큐의 완성 (0) | 2017.05.18 |
[자료구조] 우선순위 큐의 구현(3) - Delete, Insert (0) | 2017.04.24 |